728x90
반응형

신대원 7

신학대학원 경쟁률

마침내 신학대학원에 원서만 넣으면 들어갈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1월 20일 뉴스앤조이의 기사에 따르면, 모교인 장신대 신대원의 2022년 입시 경쟁률은 1.8:1이라고 한다. 내가 응시했던 1996년은 2학번 포함해서 대략 6:1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1학번 단독일 수도 있다) 뉴스앤조이 기자 말마따나 당시 장신대 신대원 입시는 '고시'에 비교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제 누구든 조금만 노력해도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곳이 되었다. 2022년 총신대의 입시 경쟁률은 1.13:1. 이 정도면 원서만 써도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통합측 지방 신대원은 모두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다. 이건 지방 신대원을 허가할 때부터 예견된 일이다. 내가 장신대 신대원에 입학한 1996년 전후로 지방 신학..

기독교 2022.01.21

깨달음이 필요하다

신학교 2학년 때인가? 늦게 학교에 들어가서 나이가 이미 28세가 되어 있었다. 그때까지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앙심 좋은 젊은이였다. 모태신앙은 아니고, 고등학교 1학년 때 몸에 병이 생겨서 휴학하고 요양하던 때부터 본격적으로 교회에 다니기 시작했다. 어릴 때 동네 교회에 가끔 나갔고 한 달 이상 다닌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는 달랐다. 교회를 매우 싫어하던 아버지도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교회에 다녔다. 처음 발을 디딘 곳은 순복음 교회였는데 우리 가족과 맞지 않아서 1년도 되지 않아 소망교회로 옮겼다. 이후 1985년에 제주도로 요양을 떠나 그곳 예장 통합 측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이어나갔다. 교회에 열심히 다니고, 성경 공부도 하고, 책도 읽고, 특히 찬양을 좋아해서 찬양단 봉사도 하는 전형적..

기독교 2021.11.11

신학대학원 졸업 전에 교회 사역을 하면 안 된다

나는 신대원 2학년부터 ㄱ교회 초등부 담당 교육전도사로 일했다.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매우 늦은 출발이었다. 나도 신대원 학생일 때 교육전도사를 하기는 했지만, 학교에 다닐 때 교회에서 일하는 것을 반대한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맡길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교육전도사 경우 신학대학교 신학과 학생과 신학대학원 학생을 주로 뽑는다. 가끔 기독교 교육학과, 교회음악과 학생을 뽑는 일도 있는데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다. 1. 대학생을 교육전도사로 뽑는 경우 신학대학교 신학과 1학년 꼬마들을 교육전도사로 쓰는 경우도 많다. 신학교 1학년 신입생 중에서 교육전도사로 일하는 학생이 반 이상이었던 것 같다. 2학년 때는 교육전도사를 하지 않는 학생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물론 나는 하지 ..

기독교 2021.11.09

신학 교육기간이 짧음에도 충분한 것처럼 보이는 이유

지난 글에 목사가 되는 과정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설명했는데 무슨 말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 사람도 많을 것 같다. 예장 통합 측을 예로 들기는 했는데, 각 대학교의 신대원, 신학대학교의 신학과, 신학원이나 신학교 등 내가 언급한 내용보다 더 많고 복잡한 교육과정이 있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기에 무리가 있다. 이런 상황인데도 내가 신학교육에 대한 글을 쓰는 이유는 매우 단순하다. 교육과정이 너무 허술하고 기간이 짧아서 제대로 된 목사를 양성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 교단 내에,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열심히 공부해도 들어가기 어려운 신대원이 있는 반면, 신학 서적 한 권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사람이 졸업 가능한 학교도 있다. 믿기 힘들겠지만 이게 현실이다. 군소 교단의 이야기가 아니다. 대한민국..

기독교 2021.10.29

목사가 되는 과정 3

3부. 신학대학원 목회연구과정 영남신학대학교(https://entra.ytus.ac.kr/)의 목회연구과정 소개글이다. '본 과정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의 목회자 양성을 위한 과정으로, 2년 동안의 본 과정을 졸업한 자에 대해서는 본 교단의 목사고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공식적인 학위는 없지만, 교단에서 인정하는 자격을 얻을 수 있는 과정이다. 그래서 '목회연구과'가 아니라 '목회연구과정'(이하 목연)이다. 지원 자격 중에 학업에 관련된 사항 두 가지를 보자. (홈페이지 참조) 나. 위 ‘가’항에 해당하는 자로서 고등학교 졸업 후 본 교단 총회가 인정한 신학대학교 신학과를 졸업 또는 2022년 2월 졸업예정자. ※ 고교졸업자격이 미달된 자는 본 교단 총회 소속 신학대학교를 졸업했다 하더라..

기독교 2021.10.28

목사가 되는 과정 2

2부. 신학대학원 신학과 기독교단의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신학대학원(이하 신대원)을 졸업해야 한다. 대학 과정의 공부를 마친 사람이 목회에 필요한 공부를 집중적으로 하는 곳이 신대원이다.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신학대학원에도 다양한 과정이 있다. 두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대원은 목사 자격을 얻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혹시 그렇지 않은 과정을 개설한 경우도 있을지 모르나 대부분은 그렇다. 2. 신대원 과정 중에는 교육부의 공식적인 학위를 얻을 수 있는 과정도 있고 교단에서만 인정하는 과정도 있다. 어느 과정을 졸업하든 목사가 되는 데는 지장이 없다. (다른 교단 목사를 자기 교단으로 받아주기 위해 짧게(대부분 1년) 교육하는 과정은 논외로 한다.)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신대원 과정을 ..

기독교 2021.10.27

목사가 되는 과정 1

1부. 들어가는 말 당회를 할 때 어느 장로가 말했다. "신대원을 나오지 않고 목연이라는 곳을 나온 목사도 있다고 하네. 그건 1년 과정이라고 하던데 이제 알았어. 우리 교회는 신대원을 나온 사람만 청빙하잖아." 부목사가 앉는 자리에 목연을 나온 목사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그 장로는 수십 년간 신앙생활을 했고 노회에도 잘 알려진 사람이었다. 그 장로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장신대 신대원에는 두 과정이 있다. 하나는 신학과 다른 하나는 목회연구과다. 사실 둘 다 신대원 졸업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신학과를 신대원이라고 부르고 목회연구과를 목연이라고 불렀다. 3년 과정인 신대원에는 교육부 인정이 되는 1학번이 있고 그렇지 않은 2학번이 있다. 현재는 2학번을 거의 뽑지 않는다는데, 내가 ..

기독교 2021.10.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