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단 6

서울에 있는 어느 대형교회의 만행 1

교단, 노회, 교회의 이름으로 운영하는 단체가 너무나도 많다. 교육기관, 복지기관은 수도 없이 많고, 교도소도 있고 병원도 있다. 교단과 노회 등 상위 기관이 운영하는 곳은 늘 말이 많고 시끄럽다. 이권이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단 총회를 할 때 유독 시끄러운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이권과 관련된 일이다. 이런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교회에서 단독으로 운영하는 곳은 별문제 없이 조용할 때가 대부분이다. 문제가 없어서가 아니다. 독재 권력으로 눌러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기관들을 단독으로 운영할 정도의 규모를 가진 교회라면 거의 다 독재로 운영되는 교회라고 봐도 무방하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그렇다. 대형교회 치고 민주적 의사결정을 하는 곳을 한 곳도 본 적이 없다. 제일 큰 문제는 교회 이름으로 ..

기독교 2022.02.17

여천은파교회의 합병

1월 11일, 여수 MBC는 여천은파교회가 '페이퍼 처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그 의심이 합리적인 의심인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2021년 2월 5일: 여수은파교회 고요셉 부목사 사임 2021년 4월 27일: 고요셉 목사가 여천은파교회 설립 청원 후 여수노회 실행위원회의 허락 2021년 6월 6일: 여천은파교회 설립 예배(사진 참조) 2021년 12월 6일: 여수은파교회와 여천은파교회 합병 - 고요셉 목사를 위임목사로 청빙 - 노회 승인 절차만 남음 하하하. 누가 봐도 금방 알 수 있다. 아니 충분히 의심할 수 있다. 이런 교회, 이런 교단은 교인들이 거부해서 무너뜨려야 한다. 나는 그렇게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하지만 아무 생각 없는 교인들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희박하다. HT..

기독교 2022.01.15

공익제보자 - 교회는 어떤가

세상이 많이 변하긴 했나 보다. 공익제보자에 대한 대우가 많이 달라졌다. 당연히 공익제보자를 보호해야 하고, 그 노력에 대해 정당한 포상을 해야 한다. 교회에 대한 공익제보는 아직도 원시적인 수준이다. 교회개혁에 대한 말을 해도 '이상한 놈,' '못된 놈,' 심지어 '이단'으로까지 몰리는 것이 현실이니 '공익제보'는 꿈도 못 꾼다. 왜 그럴까? 왜 교회개혁이 힘들까? 1. 자기가 절대적인 존재를 믿으니 자기도 절대적인 사람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교인 99% 이상이 이렇다. 광신을 넘어선 정신착란이다. 이렇기 때문에 자기가 믿고 있는 것과 다른 말을 절대로 들을 수 없다. 본인의 신앙이 기독교의 절대적인 교리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많은 해석과 내용 중의 하나, 특히 매우 심한 보수적인 입장일 뿐이..

기독교 2021.11.10

목사가 되는 과정 4

티스토리 관리 모드에 들어가면 유입 경로 통계를 볼 수 있다. 연말이라 그런지 '목사가 되는 과정'으로 많이 유입되었다. 그래서, 이 글에는 목사가 되는 과정을 요약해서 올리겠다. 목사가 되는 과정 1, 2, 3편에 언급했듯이 반드시 신학대학원을 졸업해야 한다. 신학대학교는 아무 의미 없다. 1. 어느 교단 목사가 될지 결정하기 본인이 다니는 교회의 교단 학교에 진학하여 목사가 되는 방법이 제일 쉽고 빠르다. 특정한 교단의 목사가 되고 싶다면 그 교단 신학대학원의 입학 자격을 알아봐야 한다. 교육부 인정 정규과정이든 교단에서만 인정하는 과정이든 본인의 역량에 맞추면 된다. 요즘은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 있다. 특정한 학교에 진학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거다. 이런 경우에는 그 학교 출신자를 받아주는 교단을..

기독교 2021.11.07

목사가 되는 과정 2

2부. 신학대학원 신학과 기독교단의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신학대학원(이하 신대원)을 졸업해야 한다. 대학 과정의 공부를 마친 사람이 목회에 필요한 공부를 집중적으로 하는 곳이 신대원이다.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신학대학원에도 다양한 과정이 있다. 두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대원은 목사 자격을 얻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혹시 그렇지 않은 과정을 개설한 경우도 있을지 모르나 대부분은 그렇다. 2. 신대원 과정 중에는 교육부의 공식적인 학위를 얻을 수 있는 과정도 있고 교단에서만 인정하는 과정도 있다. 어느 과정을 졸업하든 목사가 되는 데는 지장이 없다. (다른 교단 목사를 자기 교단으로 받아주기 위해 짧게(대부분 1년) 교육하는 과정은 논외로 한다.)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신대원 과정을 ..

기독교 2021.10.27

목사가 되는 과정 1

1부. 들어가는 말 당회를 할 때 어느 장로가 말했다. "신대원을 나오지 않고 목연이라는 곳을 나온 목사도 있다고 하네. 그건 1년 과정이라고 하던데 이제 알았어. 우리 교회는 신대원을 나온 사람만 청빙하잖아." 부목사가 앉는 자리에 목연을 나온 목사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그 장로는 수십 년간 신앙생활을 했고 노회에도 잘 알려진 사람이었다. 그 장로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장신대 신대원에는 두 과정이 있다. 하나는 신학과 다른 하나는 목회연구과다. 사실 둘 다 신대원 졸업이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신학과를 신대원이라고 부르고 목회연구과를 목연이라고 불렀다. 3년 과정인 신대원에는 교육부 인정이 되는 1학번이 있고 그렇지 않은 2학번이 있다. 현재는 2학번을 거의 뽑지 않는다는데, 내가 ..

기독교 2021.10.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