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불교 2

무종교인 증가, 개신교인 추락.. 종교 떠나는 사람들

오마이뉴스 기사. 무종교인 증가, 개신교인 추락.. 종교 떠나는 사람들 종교를 떠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계몽주의가 일어난 이후 많은 국가가 이 길을 걸었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된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도 계속 종교인으로 남는 사람들이 있다. 1. 미신을 버리지 못하는 사람 미신적 사고는 자기가 믿는 바를 절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치, 종교, 경제 등 모든 분야에 이런 사람이 있다. 그중에 '종교' 혹은 '미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에 꽂힌 사람은 쉽게 빠져나올 수 없다. 개신교의 기복 사상, 절에 있는 산신각 등이 미신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좋은 수단이다. 이것이 있는 한 종교에서 나올 수 없다. 2. 음모론과 종말론을 종교의 영역으로 가져온 사람 음모론은 매우 즐거운 놀잇감이다. 종말론도..

기독교 2021.12.27

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의 종교 교육은 폭력이다

내 여동생은 불교 재단에서 운영하는 J 중학교에 다녔다. 그 학교의 종교 교육 때문에 일주일에 한두 번은 동생의 짜증 혹은 울음소리를 들어야 했다. 주된 종교 교육의 방법은 참선과 강의였다. 특히 참선을 하고 온 날은 너무도 견디기 힘들었다고 울 때가 많았다. 내가 속해 있었던 어느 노회에는 중고등학교를 4곳이나 운영하는 학교 재단이 있었다. 여력이 되는 몇 교회에서 각 학교에 교목을 보내 종교교육을 하도록 했다. 지금도 상황은 변함없을 거다. 원칙적으로 종교 교육을 할 수 없어서 다른 수업을 대체하는 꼼수를 쓴다. 채플 시간도 있었던 것 같은데 확실치 않다. 기독교, 불교 등 많은 종교에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해도 되는지에 대한 논의는 꽤 다양한 것 같다.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

기독교 2021.11.13
728x90
반응형